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Virtual Terpstra Keyboard Online - 웹 용 미분음 가상 키보드
    음악관련/미분음&젠하모닉 2021. 2. 15. 17:41

    53EDO의 가상 키보드

    '미분음(microtonal)'을 웹 브라우저 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페이지를 소개하려고 한다. 기본 제공되는 템플릿이 존재하고, 수치를 바꾸어 가면서 나만의 키보드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목차〉

    • 개요
    • 접근
    • 구성
      • Tuning\Layout Quick Links - 템플릿 기능
      • Fundamental(Hz) - 기준 주파수
    • 자료

     


    개요

     

    테르프스트라 키보드의 실물 사진 - © http://terpstrakeyboard.com/

     

     

    실재하는 키보드로서, 육각형을 나란히 늘어놓은 모습이 인상적이다. 

     

    사이트에 들어가면, 현재 제작된 키보드가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게끔 지도가 나온다.

     

    21년 02월 시점에서, 동북아시아에서 소유하고 있는 사람은 존재하지 않아 보인다.

     

     

     

    정보를 간단히 요약하자면, 총 280키를 가지고 있는, MIDI/USB/LAN/HDMI/WIFI 등을 지원하는 키보드이다.

     

    추가 기능으로, RGB LED로 키 캡의 색상을 바꾸거나 할 수 있어 보인다.

     

     

     

    접근

     

    메인 사이트 - http://terpstrakeyboard.com/

    키보드 정보 - http://terpstrakeyboard.com/about/

    가상 키보드 - http://terpstrakeyboard.com/play-it-now/

     

    가상 키보드 페이지에 들어가서, Virtual Terpstra Keyboard Online을 누르면 된다.

     

     

     

    구성

     

    여러 개의 선택 상자와, 입력창이 뜨게 된다. 각각 설명을 붙여둔다.

     

    Tuning\Layout Quick Links Right Facing Steps Hex Size (pixels) Instrument
    튜닝·레이아웃 템플릿 기능 *1 키보드 키의 사이즈 악기 종류 *2
    Fundamental (Hz) Up/Right Facing Steps Rotation (degrees) Enumerate Scale
    Use Spectrum Colors
    Blank Keys (No labels)
    *3
    기준 주파수 *1 키의 각도 (기본 약 344도)
    (자판으로 조작시 0도 추천)
    Scale (Scala format) Note Names Color Layout
    스칼라 형식 조율 정보 음계명
    (음계명의 수가 조율 정보의 음률 수보다 적을 시, 남은 칸은 빈 칸 출력 됨)
    색상 배열
    (색상 배열 수가 조율 정보의 음률 수보다 적을 시, 남은 칸은 회색 출력 됨)

     

    *1 〈Right Facing Steps / Up/Right Facing Steps〉

    main(기준점)을 중심으로,
    U/R은 우상방향, R은 우측방향이다.
    12EDO에서 〈R : 2 , U/R : 1〉인 경우 12EDO에서 〈R : 2 , U/R : 7〉인 경우

    규칙적으로 구성될 수 없는 숫자로 생성하였을 경우,

     

    특정 옥타브의 특정 음이 전부 칠 수 없게 되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2 〈악기 종류〉

    영문 명칭 국문 명칭
    Piano 피아노
    Harpsichord 하프시코드
    Rhodes (로즈) 일렉트릭 피아노
    Harp 하프
    Choir 목소리
    Strings 현악기
    Gayageum 가야금
    Qanun 카눈
    Organ 오르간
    Organ + Leslie 하몬드 오르간
    Marimba 마림바
    Music Box 오르골

    이 이외의 악기는, 배음과 관련된 음색이므로 여기서는 넘어가도록 하겠다.

     

     

     

    *3

     

    Enumerate Scale : 음계명을 숫자로 메긴다 ( 반복 주기 숫자는 설정 가능 )


    Use Spectrum Colors : 자동으로 무지개 색상을 입혀준다 ( 처음 시작 색은 설정 가능 )


    Blank Keys (No labels) : 음계명을 표시하지 않는다.

     

     

     

    Tuning\Layout Quick Links - 템플릿 기능

    영문 명칭 국문 명칭
    Isomorphic Layouts for 12-ET 12평균율용 규칙성 배열 건반
    Just Intonation 순정률
    Equal Temperaments 평균율
    Stretched & Compressed Tuning 신축된 조율

    Equal Temperaments 쪽에 12평균율이 존재하지 않지만, Isomorphic Layouts for 12-ET에서 Janko 6-6을 고르면 된다.

     

     

     

    Fundamental(Hz) - 기준 주파수

     

    간단히 말해서 A = 440Hz 같은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저 사이트 특성상 C가 처음으로 오게, 즉 C를 기준음으로 잡아야 할 일이 잦고,

     

    또 A = 440Hz가 아닌 것을 추구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으므로, 그런 의미에서 일부 정리해서 적어놓도록 하겠다.

     

    사이트의 기본값이 소수점 아래 7자리까지 였으므로, 그 정도 까지만 적도록 하겠다.

     

    A에 대해서 C의 값은 12평균율 기준으로 서술되었고,

     

    테르프스트라 키보드는 기준음만 잡히면 나머지는 내부적으로 처리되니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A4의 Hz C4의 Hz C5의 Hz 비고
    440 261.6255653 523.2511306 표준 음높이
    422.5 251.2200030 502.4400061 1740년대의 음높이
    409 243.1928550 486.3857100 1780년대의 음높이
    455.4 270.7824601 541.5649202 1800년대의 음높이
    423.2 251.6362255 503.2724511 1815년 드레스덴
    435 258.6525475 517.3050950 1826년 드레스덴
    1885년 국제 표준음
    451 268.1662044 536.3324089 밀라노
    430.5389646 256 512 대안 표준 음높이
    432 256.8687368 513.7374737 ?
    452 268.7608080 537.5216160 英 구 교향악적 음높이 표준
    439 261.0309617 522.0619235 英 신 교향악적 음높이 표준
    435.5 258.9498493 517.8996986 英 국제 표준음 15℃ 기준
    439 261.0309617 522.0619235 英 국제 표준음 난실 기준
    442 262.8147724 525.6295448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443 263.4093760 526.8187519 현대 교향악단 조율
    415 246.7604764 493.5209527 바로크 조율 (A# = 440Hz)
    436 259.2471511 518.4943021 쿠바 오케스트라 조율

    참조 : https://ko.wikipedia.org/wiki/%ED%91%9C%EC%A4%80_%EC%9D%8C%EB%86%92%EC%9D%B4

     

     

     

    엑셀 식 : = ( 기준주파수$행$렬 ) * 2 ^ ( A4를기술한칸을0(기준값)으로두었을때상대적인행수 / 12 )

     

     

    C4toC5HzConv.xls
    0.01MB

    계산 참고용 엑셀 파일

     

     

     

    자료

     

    5 ~ 12평균율과 12평균율 이후의 자주 쓰이는 일부분을 나열한다.

     

     

     

    1, 2, 3, 4, 6 EDO

     

    12의 약수이므로, 12평균율을 불러 온 다음, 안 쓰는 음을 제외하고 연주하면 된다.

     

     

     

    5 EDO

     

     

    바로가기

     

    7 EDO

     

     

    바로가기

     

    8 EDO

     

     

    바로가기

     

    9 EDO

     

     

    바로가기

     

     

    바로가기

     

     

    바로가기

     

    10 EDO

     

     

    바로가기

     

    11 EDO

     

     

    바로가기

     

    14 EDO

     

     

    바로가기

     

     

     

    24 EDO

     

     

    바로가기

     

    번외 : 볼렌-피어스 건반 ( 13 EDT ( Equal Division of the Tritave ) )

     

     

    바로가기

     

     

     

     

     

     

     

    ※ 특정 평균율에 관하여서, 음계명과 관련 자료를 찾을 수 없어, 적당하게 기록한 부분이 있다. 제대로 된 정보가 있으면 빠른 시일에 수정이 가능하도록 하겠다.

     

    ※ 키보드 화면에서 좌측 파란 화살표를 클릭하면, 설정 창으로 돌아갈 수 있다.

     

    ※ 일부는 이 사이트의 게시글을 참조하였다. https://note.com/nayuta_823543/n/n415cba245237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 글의 댓글로 자유롭게 물어보십시오.

    댓글

Designed by Tistory.